-
자전거 사고는 언제 많을까요?건강에 투자 2025. 1. 12. 19:35반응형
자전거 사고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어느 계절에 가장 많을까요?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 가운데 최신 자료가 없어서 2016년과 2017년의 자료를 가지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월별 자전거 사고 통계
2016, 2017년 월별 자전거 사고 통계 2016년과 2017년 2년 동안 봄(4~5월)에 있었던 자전거 사고는 5,769건, 여름(7~8월)은 5,634건, 가을(9~10월)은 6,065건, 겨울(12~1월)은 2,712건으로 봄, 여름, 가을의 사고 건수는 큰 차이가 없고 겨울만 사고가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겨울에는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크게 줄기 때문에 사고도 적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자전거 사고로 인한 사망사고 비율은 계절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데요, 전체 사고 중 사망사고 비율을 뜻하는 치사율은 봄(4~5월)이 1.6%, 여름(7~8월)은 1.8%, 가을(9~10월)은 2.1%, 겨울(12~1월)은 2.5%로 겨울은 적은 사고 건수에 비해 사망사고 비율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봄에 비하면 겨울에는 사망사고 비율이 56% 정도 높은 편입니다.
겨울에 사망사고 비율이 높은 이유를 분석해 보자면 일단은 도로가 결빙인 날이 많고, 브레이크 결빙 등의 기계적 결함 가능성도 있습니다. 추운 날씨 탓으로 운동 능력이 저하되며, 일조시간이 짧아져 같은 저녁, 새벽 시간이라도 여름에 비하면 훨씬 어둡지요. 또한 겨울에는 추운 날씨 때문에 안경이나 고글에 김서림 등으로 시야가 밝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법규 위반별 자전거 사고 현황
그럼 자전거가 어떤 법규를 위반했을 때 사고가 가장 많을까요? 2022년과 2023년 통계청 자료를 보면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일 때 전제 자전거 사고의 66%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동차든 자전거든 안전운전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네요. 그럼 사망사고 비율이 가장 많은 경우는 어떤 법규 위반이었을까요? 가장 사고건수가 많았던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은 치사율이 1.6%인데 반해, 치사율이 가장 높은 경우는 안전거리 미확보였습니다. 전체 자전거 사고의 치사율이 1.5%인 것에 비해 안전거리 미확보는 2.9%로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두 번째로 높은 치사율은 중앙선 침범으로 2.7% 였습니다. 자전거 운전자들은 안전운전을 해야겠고, 특히나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중앙선을 넘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습니다.
연령별 자전거 사고 현황
세 번째로 살펴볼 통계는 연령별 자전거 사고 현황입니다. 어떤 연령층에서 사고가 가장 많이 났을까요? 그것은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전체 자전거 이용자 숫자와 이용 시간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대신 통계청 자료를 통해서 사고가 났을 경우 더 위험한 연령대를 알아볼 수는 있지요.
2022년과 2023년 통계청 차료를 보면 자전거를 탄 20~30대의 전제 자전거 사고 중 가해치사율(자전거 운전자가 가해자인 경우) 0.3%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고, 피해치사율(자전거 운전자가 피해자인 경우)은 0.7% 발생을 했습니다.
그럼 중장년층인 40~50대는 어떨까요? 가해치사율이 1.3%입니다. 20~30대의 0.3%였던 것에 비해 4배 이상입니다. 피해치사율은 1.0%로 20~30대에 비하면 다소 높은 정도입니다.
노년층인 65세 이상은 가해치사율이 3.4%로 20~30대에 비하면 10배 이상으로 매우 높습니다. 피해치사율 2.3%로 역시 3배 이상입니다. 자전거 운전자가 가해자가 되었든, 피해자가 되었든, 나이가 많아질수록 대체적으로 사망사고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을 통계로 알 수 있습니다. 자전거의 속도는 아무래도 젊은 층이 더 빨랐을 텐데 사망사고의 비율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장년과 노년으로 갈수록 사고에 주의해야겠습니다.
제가 파악해 본 세 가지의 통계자료를 통해 가장 위험한 자전거 사고는 겨울철에,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고, 중앙선을 넘나드는 노년층의 자전거 이용이 가장 사망사고 비율이 높은 위험한 경우였습니다. 다른 통계청 자료를 조사해 본 결과 최근 터널 안, 다리 위, 지하차도 안에서의 자전거 교통사고에서 사망사고가 많았으니 터널과 지하차도, 다리를 건너실 때에도 특히 조심하셔야겠습니다.
자전거를 사랑하는 세상의 모든 분들. 여러분은 탄소 저감을 통해 지구를 살리는 데에 적극적이시고, 교통체증을 줄여주시며, 본인의 건강도 좋아지는 좋은 취미를 가지셨습니다. 보다 안전운전을 통해서 더 오랫동안 자전거를 이용하시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포스팅을 적어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건강에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발 MTB 에어샥 교체 후기 (0) 2025.01.16 마라톤에 처음 출전하는 분들을 위한 팁 (0) 2024.12.21 라면과 아이스크림의 배신(feat. 포화지방) (0) 2024.12.09 마라톤 대회 심박수에 대하여 (0) 2024.10.09 시끄러움 속의 고요함(feat. 채근담) (0) 2024.09.22